Linux

Red Hat Linux SELinux 설정 방법

여행자 K 2025. 3. 10. 10:00

안녕하세요 여행자 K입니다.

이번에는 Red Hat 계열 Linux에 있는 SELinux에 대해 알아보고 설정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Linux란?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는 Linux 커널의 보안 모듈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프로세스와 파일에 대한 접근 제어를 제공합니다. SELinux는 기본적으로 "최소 권한의 원칙"을 따르며, 각 프로세스는 필요한 권한만을 갖도록 제한합니다. 이는 악성 소프트웨어나 해커가 시스템에 침투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ELinux 상태 확인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SELinux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SELinux 설정 확인
sestatus

 

 

    SELinux는 다음과 같은 모드로 작동합니다.

  • enforcing : 정책이 적용되며, 정책 위반 시 접근이 거부됩니다.
  • permissive : 정책 위반 시 경고 메시지를 기록하지만 접근은 허용됩니다.
  • disabled : SELinux가 비활성화됩니다.

 

 

SELinux 설정

    SELinux의 설정은 /etc/selinux/config 파일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SELinux 설정 변경
vi /etc/selinux/config

 

    파일 내에서 "SELINUX=" 항목을 찾아 원하는 모드로 변경합니다. 

 

    변경사항을 저장 후 재부팅을 통해 변경사항을 적용합니다.

#재부팅
reboot

 

    재부팅 후 SELinux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SELinux는 반드시 켜야하는가?

    SELinux를 비활성화하거나 Permissive 모드로 설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환성 문제 :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SELinux 정책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ELinux를 비활성화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관리의 용이성 : SELinux는 보안이 강력하지만, 잘못 구성된 정책으로 인해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설정이나 테스트 환경에서는 비활성화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SELinux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보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만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합니다. 보안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서비스가 정상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이상으로 Red Hat Linux에서 SELinux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SELinux는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중요한 도구이지만, 필요에 따라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서버 NTP 동기화 설정  (0) 2025.03.24
SSH를 통한 원격 서버 접속 접속 방법  (4) 2025.03.17
Linux에서 방화벽 관리하기  (0) 2025.03.03
Linux에서 정적 IP 변경 방법  (0) 2025.02.24
Linux Hostname 변경 방법  (0)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