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행자 K입니다.
현대의 IT 환경에서는 데이터 공유와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여러 대의 서버나 클라이언트 간에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 NFS(Network File System)입니다. 본 글에서는 Red Hat 8에서 NFS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FS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정 절차를 따라가며, 마지막으로 설정의 이점을 정리하겠습니다.
NFS란?
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컴퓨터 간에 파일을 쉽게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으며, 주로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NFS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서버는 공유할 디렉토리를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는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NFS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투명성: 클라이언트는 로컬 파일 시스템처럼 원격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다양한 운영 체제 간에 원활한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
- 효율성: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높입니다.
NFS 설정 방법
NFS 설정을 위해서는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최소 2대 서버가 필요합니다.
1. NFS 패키지 설치
먼저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에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FS 패키지 설치
dnf install nfs-utils
#NFS 시작
systemctl start nfs-server
#NFS 활성화
systemctl enable nfs-server
2. NFS 서버 설정
2.1. 공유 디렉토리 생성
공유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mnt/nfs_share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겠습니다.
#공유 디렉토리 생성
mkdir -p /mnt/nfs_share
2.2. 디렉토리 권한 설정
디렉토리에 권한을 설정합니다.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공유 디렉토리 권한 설정
chmod 777 /mnt/nfs_share
2.3. NFS 설정 파일 수정
/etc/exports 파일을 열어 공유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NFS 설정 파일 수정
vi /etc/exports
특정 또는 모든 클라이언트에 대해 허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허용 (단일)
/mnt/nfs_share [클라이언트 IP](rw,sync,no_subtree_check)
#특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허용 (복수)
/mnt/nfs_share [클라이언트1 IP](rw,sync,no_subtree_check) [클라이언트2 IP](rw,sync,no_subtree_check)
#모든 클라이언트에 대한 허용
/mnt/nfs_share *(rw,sync,no_subtree_check)
- rw: 읽기 및 쓰기 권한
- sync: 동기화 모드
- no_subtree_check: 서브디렉토리 체크 비활성화
이번 글에서는 모든 클라이언트에 대한 허용으로 설정하겠습니다.
2.4. NFS 서비스 재시작
NFS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NFS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nfs-server
#NFS 서비스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nfs-server
다음 글에 이어서 클라이언트 서버 설정을 작성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서버 NFS 설정하기 (2) - NFS 클라이언트 설정 (0) | 2025.04.28 |
---|---|
리눅스 포트 미러링 (0) | 2025.04.14 |
/etc/hosts 파일 수정하기 (0) | 2025.04.07 |
Red Hat 계열 Linux에서 패키지 파일 다운로드하기 (0) | 2025.03.31 |
Linux 서버 NTP 동기화 설정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