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 이어서 진행 됩니다.
2025.04.19 - [Linux] - Linux 서버 NFS 설정하기 (1) - NFS 서버 설정
안녕하세요. 여행자 K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 글에 이어서 NFS를 설정하는 과정을 써보려고 합니다.
3. NFS 클라이언트 설정
3.1.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mkdir -p /mnt/nfs_client
3.2. NFS 공유 마운트
NFS 서버의 IP 주소를 확인한 후, 다음 명령어로 공유 디렉토리를 마운트합니다.
#NFS 서버 마운트
mount -t nfs [서버 IP]:/mnt/nfs_share /mnt/nfs_client
3.3. 마운트 확인
마운트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마운트 확인
df -h
4. NFS 자동 마운트 설정
부팅 시 자동으로 NFS 공유가 마운트되도록 /etc/fstab 파일에 추가합니다.
#자동 마운트 설정
vi /etc/fstab
#다음 내용 추가
[서버 IP]:/mnt/nfs_share /mnt/nfs_client nfs defaults 0 0
이상으로 Linux에서 NFS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NFS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시스템 간에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관리가 훨씬 용이해집니다. 특정 클라이언트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NFS 설정 후에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접근하여 파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니, 필요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NFS는 협업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서버 NFS 설정하기 (1) - NFS 서버 설정 (2) | 2025.04.21 |
---|---|
리눅스 포트 미러링 (0) | 2025.04.14 |
/etc/hosts 파일 수정하기 (0) | 2025.04.07 |
Red Hat 계열 Linux에서 패키지 파일 다운로드하기 (0) | 2025.03.31 |
Linux 서버 NTP 동기화 설정 (0) | 2025.03.24 |